본문 바로가기

작업실

외화수표(Cheque) 원화로 바꿔보자 part 1 (이론편)

 

외화수표를 아시나요?

 

혹시 모르신다면... 체크(Cheque)는 아시나요?

 

그것도 모르신다면... 음... 사실 저도 해외생활을 해보기 전까지는 저게 뭔가 싶었습니다.

 

요즘은 외국에서 외화수표를 받는 분들이 많아서 아시는 분도 많아졌지만 아직도 생소한 것이 사실입니다.

 

 

 

외국에 나가면 경제행위를 하실때를 보면

보통 많이 쓰이는게, 현금, 신용카드(Credit Card), 데빗카드(Debit Card, 우리나라로는 체크카드)

그리고 수표(Cheque)라 할 수 있겠습니다.

위에 3가지야 누구나 다 아시겠지만, Cheque는 좀 생소할텐데요.

 

 

개인대개인 거래부터 개인대기업, 개인대정부, 기업대정부 등 수많은 대상들 사이에서 현금을 대신해쓰이는데요!

큰 금액을 거래할때 그리고 거래내역을 남겨야 할 때 등의 필요성에 의해 많이 활용합니다.

 

 

개인대개인 사용의 예로는...

Rent를 해서 매월 렌트비를 내야하는 경우에 현금으로 지급해도 되지만...

혹시나 렌트시 landlord에 의한 사기가 의심되거나 확실한 거래 내역을 남기고 싶다면...

개인이 가진 개인수표를 이용해서 렌트비를 주인에게 주면 양쪽 모두에게 기록이 남습니다.

(편리한 대신 부도수표 사용 등의 사기사건도 가끔 발생하니 주의해야합니다!!!)

 

 

어쨌든 저도 외국생활을 마치고 오면서 몇개의 외화수표(체크)를 가지고 들어왔습니다.

일부는 일해서 받은 회사에서 발행한 체크도 있었고요. 일부는 정부에서 텍스리턴으로 받은 체크도 있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기업대개인, 정부대개인으로 외화수표가 쓰인 예가 되겠네요)

 

 

해외에 있던 계좌는 모두 닫고 왔기에 사실 국내에서 이를 원화로 바꿀 수 밖에 없었는데요.

바꾸는 사람도 적고, 더군다나 정부 체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더더욱 적어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여러 사이트에서 검색해보고 찾아봤는데 정보가 거의 없네요.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이렇게 설명을 드립니다.

 

 

 

우선 외화수표란? 간단하게 말하면

원화가 아닌 외화로 되어있는 수표(Cheque)를 의미합니다.

보다 정확히 하면 수표의 지급지가 외국 또는 격지로 되어 있는 외화표시수표 또는 어음 등을 의미하며, 매입하거나 추심의뢰를 받아 직접 지급은행에 대하여 또는 거래은행을 통해여 대금을 청구하는 등의 절차를 통해 대급이 지급됩니다.

 

 

우선 원화로 바꾸는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추심전매입 (줄여서 매입, BP : Bills Purchased)

 - 고객의 신용상태가 양호하고 지급은행에서의 지급이 확실하다고 예상되는 외화수표에 대해서는 지급은행으로부터 수표대금을 받기 전에 고객에게 수표대금을 먼저 지급한 후 지급은행 앞으로 추심하여 해당대금을 회수하는 것

 

2. 추심후지급 (줄여서 추심, BC : Bills Collected)

 - 지급은행 앞으로 추심한 수표가 결제되어 당행계좌에 임급된 사실을 확인한 후 고객에게 수표대금을 지급하는 것

 

 

사실상 보면 매입과 추심 수수료 '자체'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여기서 함정은 수수료 '자체' 입니다.

 

매입은 당일 원화로 바꿔서 받을 수 있고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에

(주로 매입 수수료만 지불하며, 은행별로 우편료를 받는 곳도 있음)

은행에서 대출 개념으로 체크를 받고 금액을 지불하는 것이므로 주거래 은행이지 않은 이상은 받기가 어렵습니다.

(실적 또는 일정 금액 이상의 잔고를 요구받기에 그렇습니다. 대출과 같아 신용이 필요한 것이지요)

 

내가 바꾸려는 금액이 불과 100달러, 200달러라 할지라도 이게 부도수표이거나 지급정지가 되어 있을수도 있으므로

은행에서는 확실한 고객이 아닌 이상 보통 추심으로 원화를 지급하려고 합니다.

 

 

 

이에 반해 추심은 원화로 받는데 최소 20~30일의 시간이 걸리며, 해당국 은행을 거치기 때문에 국내 수수료 외에

해외은행에서 별도의 수수료가 나오며 수수료에 우편료가 추가됩니다.

국내 수수료 자체는 거의 같거나 조금 비싸지만 

해외은행 수수료(은행마다 다르지만 보통 $20 내외)가 존재하고 거의 한 달이라는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조금 지난 자료지만 은행별 매입과 추심 수수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은행 외화수표매입 수수료 외화수표추심 수수료
국민
100불 이하 : 5,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우편료 
(지급지가 미국이고 지급통화가 
미화인 경우 면제 가능)
500불 이하 : 1,500원
1,000불 이하 : 3,000원
1,000불 초과 : 5,000원
기업
3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7,5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0불 이하 : 15,000원
1,0000불 초과 : 20,000원
우편료 면제
농협
300불 이하 : 2,500원
500불 이하 : 5,000원
1,000불 이하 : 7,500원
1,000불 초과 : 10,000원
수표금액 × 0.1 
(최저 5,000원 ~ 최고 20,000원)
우편료 5,000원
산업
창구 문의
수표금액 × 0.1 
(최저 5,000원 ~ 최고 15,000원) 
신한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7,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외환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7,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15,000원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이하 : 15,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우편료 면제
우리
100불 이하 : 5,000원
5,000불 이하 : 10,000원
10,000불 이하 : 15,000원
10,000불 초과 : 20,000원
수표금액 × 0.1 × 매매기준율 
(최저 5,000원 ~ 최고 20,000원)
우편료 소정액?
제일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7,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15,000원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이하 : 15,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조흥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7,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100불 이하 : 10,000원
500불 이하 : 12,000원
1,000불 이하 : 15,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우편료 2,000원
하나
20불 이하 : 면제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7,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15,000원
20불 이하 : 면제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이하 : 15,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우편료 
달러화수표 : 2,000원
기타통화수표 : 5,000원
Citibank
1,000불 이하 : 8,000원
1,000불 초과 : 15,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우편료 면제 
(단, 수수료 면제의 경우 : 2,000원)
HSBC
10,000원, 15,000원, 25,000원
5,000원 10,000원 20,000원
수표금액에 상관없이, 
고객등급에 따라 수수료 책정
경남
100불 이하 : 5,000원
5,000불 이하 : 10,000원
10,000불 이하 : 15,000원
10,000불 초과 : 20,000원
수표금액 × 0.1 
(최저 4,000원 ~ 최고 10,000원)
광주
취급 건당 10,000원 (금액제한없음)
5,000불 이하 : 10,000원
5,000불 초과 : 20,000원
대구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7,000원
1,0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초과 : 15,000원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이하 : 15,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부산
100불 이하 : 3,000원
1,000불 이하 : 7,000원
1,000불 초과 : 10,000원
전북
100불 이하 : 5,000원
500불 이하 : 10,000원
1,000불 이하 : 15,000원
1,000불 초과 : 20,000원
창구 문의
제주
수표금액 × 0.1 
(최저 2,500원 ~ 최고 20,000원) 
수표금액 × 0.1 
(최저 10,000원 ~ 최고 20,000원) 

 

은행별로 변동이 있을수 있으니 직접 확인해 보시는게 좋으실듯 하고요.

(전반적으로 보면 기업은행이 가장 저렴하게 원화로 바꿀 수 있습니다.

보통 300불 이하의 금액을 가지고 계시는 분이 많기에 기업은행이 유리하다고 말씀드린겁니다!

액수가 크시면 위의 표를 참고하세요 ^^) 

 

 

전 무려 7장의 체크가 있어서... (금액은 미미합니다 ㅠ) 오늘 여러 은행을 전화해봤는데 ㅠ

결론은 주거래은행으로 가기로 했답니다.

주거래 은행이 아니면 그 어떤 경우로도 매입이 되지 않더군요.

 

이번 주는 시간이 없어서 못 가고 다음 주에 외화수표를 바꿀 듯 한데 이후 2편으로 돌아와서 후기 올리겠습니다!

 

 

결론 : 매입과 추심 중에는 매입이 유리하다! 매입을 위해서는 주거래 은행으로 가야한다.